Japanese American Internment during the WWII

미국 통계조사국(US Census Bureau)은 10년주기의 인구조사(Census)를 비롯한 다양한 통계조사를 주관 시행하는 내무부 산하 기관이다. 사생활보호에 대한 엄격한 법률이 적용되는 미국 정부기관들 중에서도, 통계조사국의 사생활보호정책은 엄격하기로 유명하다. 개별가정의 인구센서스 자료(Microdata)는 가장 엄격한 비밀보호대상으로, 일반에 공개되지 않으며 정부기관 사이의 공유도 절대 허용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목적으로 일반에 공개되는 표본자료 (Public Use Microdata Sample; PUMS) 역시 개인의 사생활보호를 위해 이름, 주소 등 개인정보를 삭제한 상태로 제공된다.

그런 미국 통계조사국의 역사에서 치명적인 오점으로 거론되는 사건이 하나 있었으니, 일본과의 태평양전쟁 중에 벌어진 일본인 및 일본출신 이민자들의 강제수용(Japanese Americans Internment) 사건이다. 2차대전기간동안 약 12만의 일본국적 및 미국국적 일본이민자들이 잠재적인 간첩으로 간주되어 무차별적으로 와이오밍, 콜로라도, 아이다호, 아리조나 지역에 분포하는 10여개 캠프에 강제수용되었던 것이다. 불행 중 다행으로 가족을 생이별시키거나 학살하는 등의 반인도적 행위가 보고된 바는 없으나, 출신지역에 따른 무차별적인 강제수용조치 자체가 이미 반인도적 행위인 것은 부인의 여지가 없다. 통계조사국은 그 강제수용과정에서 절대로 공개하지 말아야 할 가구별 인구조사자료(microdata)를 국방부에 넘겼다는 의심을 받아왔다. 가구별 인구조사자료는 가구별 구성원의 나이, 성별 뿐만 아니라 출신민족까지 포함된 자료로서, 그를 근거로 하여 일본출신 이주민과 그 가족들을 찾아내서 수용했을 것이라는 당연한 의혹이다.

 [An evacuee with family belongings en route to an

An evacuee with family belongings en route to an "assembly center", Spring 1942 (left), Dust storm at Manzanar War Relocation Center (right) from [Wikipedia]

미국 정부는 몇십년이 지난 1988년 레이건정부에 이르러서야 (경제력을 앞세운 일본정부의 압력에 떠밀려) 그 사실을 인정 - 사과하고, 그 피해에 대한 금전적인 보상을 결정하였다. 통계조사국은 최근까지도 일본인 강제수용조치에 연루되었던 사실을 부인해 오다가, 2000년이 되어서야  그것을 일부인정하고 공개적인 사과를 하게 된다. 어느 지역에 몇명의 일본인 혹은 일본출신이민자가 살고 있다고 하는 정보(Neighborhood information)를 국방부에 제공하긴 하였으나, 가구별 인구조사자료는 제공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2007년에는 당시 통계조사국이 워싱턴 DC지역에 거주하고 있던 일본인들의 이름과 주소를 재무부 비밀검찰국(Secret Service)에 제공했다는 비밀문서가 공개되어, 통계조사국을 다시한번 당혹스럽게 하기도 했다.

Posted by 주머니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