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eball maps – Build them and they will come.

 

9년간의 미국생활을 정리하고 귀국하였습니다. 일찌감치 배편으로 이삿짐을 보내고, 남은 짐을 싸서 아이들 데리고 귀국비행기에 오른 것이 4월 27일 00:30 이었지요. 그러고 보니 어느덧 두달하고도 반이라는 시간이 훌쩍 지나버렸습니다. 귀국 후 한달은 부산 처가에 머물면서 우리 가족을 위한 새로운 보금자리를 구한다, 자동차를 구입한다, 주위 분들에게 인사를 다닌다 번잡했습니다. 그리고, 새로 구한 광주 집으로 이사한 것이 5월 29일, 첫출근이 6월 1일이었습니다. 방치되어 있는 블로그를 만져줘야지 하면서도, 한달반 동안이나 정신줄을 놓고 살았네요. 기다리는 사람은 물론 없었겠지만… ㅎㅎ. 10년 뒤의 나를 위해서 다시 스크랩을 시작합니다.

++++++++++++++++++++++++++++++++++++++++++++++++++++++++++++++++++

태어난 곳이 경북이라는 이유로 그냥 삼성이 우리팀이려니 했습니다. 삼성의 파란 유니폼이 그렇게 각인이 되었나 봅니다. 그렇다고 해서 또래 많은 친구들처럼 어린 시절부터 유니폼 갖춰입고 야구장 다니는 열성파도 아니고, 선수들 이름도 잘 모릅니다. 경기를 보면 삼성보다는 ‘지고 있는 팀’을 응원하고 있는 경우가 많더군요 ㅎㅎ. 구지 모기업의 나쁜 이미지를 가져다 대지 않아도, 라이온즈같은 부자팀은 별로 응원하고 싶지 않네요. 그냥 방망이에 맞아서 날아가는 공이 만드는 멋진 궤적이나 그 시원한 타격소리가 좋았나 봅니다. 청량하지요. 그래서 점수가 별로 나는 않는 경기는 싫어합니다.

귀국을 했더니 10여년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야구열기가 뜨겁습니다. 벌써 야구장도 한번 다녀왔습니다. 광주에 정착을 하다보니 타이거즈 경기를 자주 보게 되네요. 초반에 저조하다가 요즘 꽤 안정된 전력으로 선전하고 있습니다. 주변에 타이거즈 팬이 많다보니 더 관심이 가네요. 가을에 선선해지면 조금 더 자주 야구장에 다녀볼 생각입니다.

야구관련 흥미로운 구글지도 메시업(Google map mashup)이 몇 개 있어서 야구팬들을 위해 소개합니다. 한국 프로야구는 아니고, 미국 메이저리그 관련 자료들로 만든 지도입니다. 한국 프로야구 자료를 구해서 한번 그려봐도 재미있겠네요.

2011-12 MLB Player Map 은 미국 메이저리그에서 뛰고 있는 선수들의 출생지를 표시한 세계지도입니다. 대부분 선수가 미국, 캐나다 등 북미와 카리브해의 중미국가 출신이네요. 베네수엘라, 도미니카공화국, 푸에르토리코 출신이 특히 많네요. 그외에는 유럽과 아시아 몇개국에서만 메이저리그 선수를 가지고 있네요. 일본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한국선수들이 꽤 많았는데, 모두 귀국하고 추신수 선수만 홀로 남아 있지요.

또 하나 아주 재밌는 사이트가 있는데요. 서른 개 메이저리그팀 홈구장들 중에서 지붕이 없어서 구글맵으로 구장형태를 볼 수 있는 21개의 야구장의 모양을 비교분석했네요. How Different are Major League Baseball Fields? (부산에 계신 어떤 분이 보시면 아주 흥미로워 하실 것 같은데요.)

각 구장별로 구글맵에서 인공위성 이미지를 찾고 홈플레이트에서 외야펜스까지의 형태를 디지타이징해서 그 크기와 형태를 측정했습니다. 그걸 겹쳐보니 정말 어느 하나 같은 모양의 야구장이 없네요. 보스턴 레드삭스의 홈구장인 펜웨이파크 같은 경우에는 야구지식이 희박한 제가 보기에도 좌타자에게 불리할 것 같습니다.

한국 프로야구에서도 구장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서 투수에게 유리한지 불리한지에 관한 이야기기 많은데요. 큰 구장인 잠실이나 부산사직 야구장을 홈구장으로 하는 두산, LG, 롯데에서 홈런왕이 나오기 힘들다는 것은 공히 알려진 사실입니다.

구장의 크기/형태를 비교한 데서 더 나아가서, 각 구장별로 좌타자/우타자 통계, 홈런/2루타 통계 등을 비교해 봐도 재미있는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via [Google Maps Mania]

Posted by 주머니칼
,

Buy a Woodcut Google Map

구글맵(Google maps), 야후맵, 빙맵, 다음지도 등 수많은 지도서비스들이 컴퓨터, 스마트폰, 테블렛컴퓨터 등 수많은 플랫폼을 통해 우리 일상생활에 깊숙하게 파고들었다. 길찾기를 위한 기능적인 지도가 아니더라도, 나같은 사람들은 예쁘고 독특한 지도를 보기만 하더라도 즐겁다. 구글맵에서 원하는 곳을 지정하면, 다양한 색상의 고급목판를 레이저로 잘라서(Laser cut) 붙인 멋진 지도를 만들어 주는 곳이 있어서 소개한다.



구글맵을 통해서 위치를 선택하고 지도범위, 원하는 크기, 목재종류 등을 지정하면 실시간으로 디자인이 완성된다. 가격은 크기에 따라서 $105에서 $350까지 책정(할인가격)되어서 상당히 비싼 편이지만, 기념하고 싶은 추억의 장소를 멋진 나무지도(Woodcut map)로 만들어서 액자처럼 전시하면 꽤나 분위기 있을 것 같다. 첫키스의 장소, 태어나서 자란 도시, 프로포즈한 곳,  다닌 학교 캠퍼스, 교통사고 나서 하마터면 죽을뻔 했던 곳 등등 시리즈로 만들어서 벽에 쭈욱 붙여 놓으면 어떨까?



이런 거 선물받으면 정말 기분 좋겠다. ^O^

[woodcutmaps.com via Google Maps Mania]

Posted by 주머니칼
,

관광지에 갔다가 화장실을 못찾아서 난감했던 기억이 있지 않나요?

도심에서 혹은 어떤 축제에 갔다가 갑자기 화장실을 써야 하는 상황이 생기면 참 곤란하다. 특히 용변을 잘 참지 못하는 아이들을 데리고 다니다가 그런 일이 생기면 난감하기 이를 데 없다. 남자아이를 키우는 분들은 “페트병 하나만 있으면 되는데… ^^;” 라고 하실 수 있지만, 소변이 아니라 큰 놈(^^)이라거나 여자아이들이라면 급히 근처에 공공화장실이나 하다 못해 패스트푸드 가게라도 있는지 찾아봐야 한다. 게다가 대도시일수록 화장실인심도 야박해서 화장실을 잠궈두고 손님들만 사용할 수 있게 해서, 울며 겨자먹기로 필요없는 걸 사게 되는 경우도 많다. 예전에 서울의 어느 지하상가에서는 백원인가를 내고 유료화장실을 사용했던 기억도 있다.

아이들을 데리고 뉴욕에 갔다가 화장실을 못찾아 난감했던 어떤 아빠가 만든 지도웹사이트가 있어서 소개한다. 미국의 뉴저지에서 VERTICES라고 하는 GIS 컨설팅 회사를 운영하시고 동시에 Meharry 의대에서 교수로 일하시는 임완수 박사님이라는 분인데, 얼마 전 1월에는 한국을 방문하여 세바시에서 강연도 하셨다. 뉴욕화장실 지도를 포함해서 다양한 아이디어의 프로젝트를 소개하니 꼭 한번 들어보면 좋겠다.

  

세바시 101회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지도 함께 만들기 by 임완수 교수


정부, 회사, 개인이 지도를 만들고 그것을 일방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종래 중앙집중식의 지도서비스와는 다르게 임완수 교수의 프로젝트들처럼 여러 사람이 오프라인 혹은 온라인을 통해 협업하여 지도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커뮤니티 매핑(Community mapping) 이라고 한다. 그의 강연내용에서처럼, 한 개인이 뉴욕의 모든 공공화장실을 찾고 메모하여 안내책자를 만드는 데는 3년이라는 긴 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하지만, 공공화장실의 위치는 수시로 바뀌고 예전에는 일반인들에게 화장실을 공개했던 상점들이 생각을 바꾸는 경우도 부지기수다. 그 안내책자의 내용들은 이내 쓸모없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일반인들이 스마트폰의 앱이나 인터넷을 통해서 자신이 찾은 공공화장실을 추가하고, 사용해 본 화장실의 현상태를 수시로 업데이트하면서, 이런 지도서비스는 생명력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Google map, Bing map, OpenStreetMap 등 대부분의 지도서비스들이 개인이나 기업 웹사이트에서 해당지도를 불러오고, 그 위에 여타의 위치정보(예를들어, 화장실 위치)와 관련 속성정보(청결도, 사진 등)를 중첩하여 지도화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한다. 따라서, 배경이 되는 도로망, 지형 등 일반지도자료를 구축할 수 있는 여건이 안되는 개인이나 기관도 보다 쉽게 지도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얼마전에 소개한 IJustMadeLove Map 이나 미국 사투리지도: soda vs. pop vs. coke 역시 그런 일반인 참여 지도화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트렌드를 가능하게 한 요인들을 간략히 요약하자면, 1) GPS가 장착된 스마트폰 등 휴대용 전자기기(Mobile device)의 광범위한 보급과 활용, 2) 지도업체의 Open API를 통해 쉽게 접근가능한 지도서비스,  3) 트위터, 포스퀘어,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등의 인기에 힘입은 느슨한 온라인 커뮤니티(Loose online community)의 활성화 등을 들 수 있겠다. 커뮤니티 매핑(Community mapping) 외에도, 협업지도화 (Collaborative mapping), 일반인 참여 지리정보시스템 (Public particip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Participatory GIS), 자발적 지리정보시스템 (Voluntary GIS) 등 다양한 용어들이 사용되고 있기도 하다.

Posted by 주머니칼
,

18-19세기 전세계의 고지도들을 모아 놓은 사이트가 있어서 소개하고자 한다.  개인 컬렉션(물론 Cartography Associates라는 법인으로 등록)으로  15만장 이상의 판본을 소장하고 있고, 최신 디지털기술을 도입해서 그 중  2만7천장 이상을 고해상도 디지털 이미지로 제공한다고 하니, 놀라운 규모이다.

image

다양한 검색도구들을 이용하여 관심있는 고지도를 검색해 볼 수 있다. 아래는 한국주변의 동아시아지역을 중심으로 어떤 고지도들이 있는지 검색해 본 화면이다. 중국이나 일본으로 검색되는 지도들이 대부분이다.

image

또한 MapRank Search라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지역별, 시기별, 검색어별 검색도 가능하게 하였다.

image

더욱 놀라운 것은 단순히 지도를 검색하고 이미지파일을 다운받는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고지도를 구글지도, 구글어스 등에 중첩해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까지 지원한다는 것이다. 모든 지도이미지를 기하보정(GeoRectification, georeferencing) 을 거쳐 다른 디지털지도에 중첩하여 보여주는 것인데, 고지도를 반투명하게 중첩해서 특정지역의 과거 지도와 현재 지도를 비교하면서 보여준다. 

image

image

 

image

이외에도 세컨드라이프(Second life) 온라인 가상현실 서비스에 고지도를 이용해서 가상세계를 구축하는 등, 갖가지 흥미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단순히 방대한 양의 고지도를 수집 관리하는 것도 놀라운데, 그 지도들을 창고에 보관하고 갤러리에서 전시하는 것을 넘어서 이렇게 참신한 방법으로 일반인들에게 공개하고 있는 것이 경이로울 지경이다.

나처럼 지도를 좋아하는 분들에게는 놀거리가 무궁무진한 신나는 놀이터가 될 것이고, 지도학이나 여타 지리학관련 강의를 하시는 분들에게는 좋은 강의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겠다.

David Rumsey Map Collection at http://www.davidrumsey.com/

Posted by 주머니칼
,

제목을 뭐라고 번역을 해야하나 고민하다가 그냥 원어 그대로 쓴다. 구지 자신의 성생활을 자랑하고 싶을까? 혹은 이런 걸 알고 싶어하는 사람이 있을까?하는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많겠다. 그러나 Why not?

출간당시에 엄청난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던 ‘킨제이 보고서’는 이제 성관련 연구의 표준으로 자리잡지 않았는가... 아직은 참여자 숫자가 많지 않아서 통계결과의 신뢰도가 미흡하겠지만, 시간이 지나고 다양한 자료가 수집된다면 ‘킨제이 보고서’의 공간통계판으로 성장할 수도 있지 않을까?

페이지 아래쪽의 메뉴바에서 Love Stats를 클릭하면 간단하지만 재미있는 통계분석자료가 제공된다.

출처: The Cartography of Sex [ijustmadelove.com via Google Maps Mania]

Posted by 주머니칼
,

image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위시한 SNS 들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활용하고 있다. 물론, 사용자 본인이 위치를 알리기 싫다거나 일부러 잘못된 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정확도를 신뢰하기는 힘들다. 하지만, 대부분의 서비스들이 그런 위치정보를 개방 API를 통해 제공하고 있어서, 재미있는 지도서비스가 많이 만들어진다.

구글맵과 트위터의 오픈API를 이용하여 내 트위터 친구들의 위치를 매쉬업지도로 만들수 있도록 해주는 재밌는 사이트가 있다.  (http://theron17.github.com/Twitter-Friends-Map/) 이용방법도 아주 간단하다. 해당 사이트로 가서, 내 트위터 아이디만 입력하면 바로 위와 같은 지도를 만들 수 있다. 언급한 대로 정확도를 100% 신뢰한다거나 하지는 않을 거라고 믿는다. 몇몇 한국친구들이 미국이나 유럽에 있는 것으로 나온다. 물론, 그곳을 방문중일 수도 있겠지만… 글쎄다.  얼마전 세계여행을 다니고 계시던 딴지일보의 파토님께서는 인도에 체류중이시란다. 본인의 현위치를 부지런히 업데이트하고 있는 것이거나, 아니면 마지막으로 위치정보 업데이트한 것이 우연하게도 인도의 뭄바이였거나, 가능한 이유는 여러가지다.

Map your twitter friends [Theron17 via FlowingData]

Posted by 주머니칼
,